반응형
1. '과거의 결과'로부터 '미래의 결과'가 생겨나지 않는다.
2. 이익의 원천을 간파하려면 다음 네 가지 질문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.
_ 그 기업은 '무엇에서' 돈을 벌고 있는가?
_ '왜' 돈을 벌 수 있었는가?
_ 앞으로 돈을 버는 구조에 변화가 있는가?
_ 이제부터 '얼마나' 벌 수 있는가?
3. 이익을 올리고 있는 기업의 성공 유형은 주로 두 가지로 나뉜다.
_ 시장의 매력도 : 수요구소 x 경쟁환경으로 판단
_ 비즈니스 모델의 유망도 : 높은 이익률 x 확장의 가능성으로 판단
반응형
4. 유망한 투자 대상은 '소형 저평가 성장주'다
5. '좋은 회사'가 반드시 '좋은 투자 대상'이라고는 할 수 없다.
_ 좋은 회사는 애초에 그에 상응하는 주가가 형성되어 있다. 반대로 좋지 못한 회사라도, 그 본질과 비교하여 부당하게 낮은 주가가 형성되어 있다면 이제부터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. '우량'한 기업이 '초우량'한 기업이 되는 시나리오를 기대하는게 아니라 '최악'의 기업이 '다소 나아진다'는 식의 시나리오가 결과적으로 잘 들어맞을 경우가 많다.
||야마구치 요헤이<현명한 초보 투자자> 중에서 발췌||
반응형
'■ 주식 공부 > # 재테크 · 투자 도서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5. 매수 종목 선정 기준 (0) | 2021.09.22 |
---|---|
#4. 기업 가치 판단 지표 6가지 (0) | 2021.09.01 |
#3. 장기투자의 함정 (0) | 2021.08.17 |
#1.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구조 (1) | 2021.08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