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BPS(BOOK-value per Share: 1주당 순자산)
_ 1주당 순자산. 투자 대상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것
_ BPS가 높을수록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이 높아서 투자가치가 높은기업이라고 판단
_ BPS는 주가 정보가 고려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
2. EPS(Earnings per Share : 1주당 순이익)
_ 1주당 순이익의 금액. 주주가 1년간에 받을 수 있는 몫(배당금+유보이익)
_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가치는 높다고 보고 있으며 회사의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
3. EPS 성장률
_ 매년의 1주당 순이익(EPS)의 증가율
4. PBR(Price Book-value Ratio: 주가순자산비율)
_ 해당 기업의 주가(시가총액)가 회계상의 청산가치(주주자본)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
_ PBR=주가 ÷ 1주당 순자산(BPS)
5. PER(Price Earnings Ratio: 주가수익비율)
_ 주가와 기업의 수익력을 비교하으로써 주식의 투자가치를 판단할 때에 이용되는 척도
_ PER=주가 ÷ 1주당 순이익(EPS)
_ PER이 낮을 수록 기업이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
6. ROE(Return On Equity: 자기자본이익률)
_ 주주가 맡긴 돈(자본)을 사용하여 당기에 주주에게 귀속되는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가, 즉 주주자본의 운용수익률을 나타낸다
_ ROE=당기순이익 ÷ 순자산(자기자본)
_ 주식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의미
||야마구치 요헤이<현명한 초보 투자자> 중에서 발췌||
'■ 주식 공부 > # 재테크 · 투자 도서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5. 매수 종목 선정 기준 (0) | 2021.09.22 |
---|---|
#3. 장기투자의 함정 (0) | 2021.08.17 |
#2. 가치의 '원천'을 파악하려면? (0) | 2021.08.15 |
#1.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구조 (1) | 2021.08.15 |
댓글